자유게시판

[스크랩] 오늘은 광복 63주년 기념일

지정 智正 2008. 8. 15. 22:35

 

 


오늘은 63주년 광복절입니다
집집마다 태극기를 달고 기념 하는날 되세요

63주년 광복절(光復節)

 

 

63주년 광복절(光復節)  광 복 절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고,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경축하는 날.
8월 15일.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으로 제2차 세계대전이 종식되어 우리나라가 독립하였고,

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49년 10월 1일 이 날을 광복절이라 하고

국경일로 정하였다(법률 53).

 광복절의 유래

 

 광복절은 1945년 8월 15일 일본으로부터 해방된 의미있는 경축의 날이기도 하지만

1948년  8월15일 우리 대한미국의 정부가 수립된 것을 공포한 경축일이기도 하다.
 1895년 강화도 사건을 계기로 일본의 간섭을 받아 오던 우리 나라는

청일,노일 전쟁을승리로 이끈 일본에 의해 1910년 8월 29일 합방되고 말았다.
 36년간의 생활은 너무도 굴욕적이고 비참하였다. 우리의 기본권을 박탈당하고

강제 노동과 강제징병, 징용에 시달리며 우리의 역사, 언어, 문자까지도

탄압에 굴복 당하였다.

그뿐 아니라 심지어 이름과 성도 일본식으로 고치게 하였고 전쟁물자와

식량의 공급을 위한 각종 약탈을 감행하여 괴롭혔다. 이와 같은 온갖 탄압 속에서
  조국광복을 위한 지하운동을 맹렬히 벌렸으며 해외에서는 임시정부가 수립되고

광복군 등의 조직에 의하여 항일 투쟁을 계속하였다.

한편 1943년 11 월 카이로 회담을 통하여 미,영,중의 원수가 모여서

우리의 독립을 밝혔고 1945년 7월의 포츠담 회담에서 한국의 독립을 재확인하였다.
 1945년 8월 히로시마 나가사끼에 떨어진 원자탄의 위력에 놀란 일본은

그 달 15일에 무조건 항복을 하였으며 아울러 우리는 해방을 맞이한 것이다.  민족 해방과 대한민국의 건국

 

 일제말기에 10년간 우리는 일본의 혹독한 학정을 받아왔다.일본은 만주를

침략하면서부터 많은 군수품을 필요로 하였다.따라서 농업에

중점을 두던 한국의 산업을 바꾸어서

  군수공업과 광업에 치중하기 시작하였다.그후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으로

싸움을 넓혀가는 동안 한국을 병참기지로 삼아 더욱 식량과 원료를 약탈하였다.

 한편 일본은 우리의 민족의식과 문화를 완전히 없애버리고 민족을 말살하려는
수작을 하였다. 한글을 쓰지 못하고 일본말을 사용하게 강요하였고,
황국 신민의 서사라는 것을 외우게 하여
우리의 성명까지도 일본식으로 고치게 하였다.그후 전쟁이 일본에 불리해지자
 일본은 사람들까지도 마구 징벌하였다.지원병 제도를 만들어 청년들을 속여서
일선으로 끌어가고 다시 징병제도니 학병이니 하여 모든 청년과 대학생을
끌어가기 시작하였다.
또 청년장년을 군사실과 군수공업 또는 탄광으로 끌고가서 강제노동을 시켰다.
 일제가 최후 발악을 하고 우리가 사선에서 허덕일 때도 비밀히 지하운동을 통하여
민족의 해방을 꾀하는 여러 지사가 있었다. 해외에서도 임시정부 등의 항일 투쟁을
계속하였고 광복군 등의 군대를 조직하여 일본군과 싸웠다.
1943년 11월에 미국,영국,중국의 3국 원수는
  카이로에서 회의를 열어 일본의 영토 문제를 토의하고 카이로 선언을 하였다.

이 선언은 특히 한국을 독립시킬 것을 밝혔다.1945년 7월의 포츠담 선언은

한국의 독립을 약속한 카이로의 결의안을 재확인하고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였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와 떨어진 원자탄의 위력에 놀란 일본은 포츠담 선언을 받아들였다.
 1945년 8월 15일은 일본 제국주의가 패망한 날인 동시에 우리가 해방된 날이었다.

8,15 해방은 우리에게 곧 독립까지도 가져다주지는 않는다.북위 38도선을 경계로 하여

이북에는 소련군대가 진주하여 각각 군정을 펴려고 하였다.

두 세력의 대립으로 인하여

남북은 화해하지 못하고 뜻하지 않게 국토와 민족과 사상이 둘로 갈라져
대립하게 되었다. 남한의 민주진영은 유엔의 협조를 얻어
전국민의 자유의사 대로 남북을 통한 총선거를 실시하여
국토를 통일하고 주권을 회복하려 하였으나 소련과 북한의
공산주의자들이 반대하였다. 이에 유엔은 1948년 2월 가능한
지역부터 하기로 결정하였다. 선거를 1948년 5월 10일
유엔 한국위원단의 감시밑에 남한에서 역사적인 총선거가 단행되었다.
그 결과 국회가 소집되고 헌법이 제정되어 초대 대통령으로서
이승만 박사가 취임하여 8월 15일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자유민주의 국가로서 발족한 대한민국은 1948년 12월
파리에서 열린 유엔총회에서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정부로 승인 받았다.  ball.gif
 
광복절(光復節)노래
작사: 정인보
작곡: 윤용하
흙 다시 만져보자
바닷물도 춤을 춘다
기어이 보시려던
어른님 벗님 어찌하리
이날이 사십년
뜨거운피 엉긴자취니
길이길이 지키세
길이길이 지키세
꿈엔들 잊을건가
지난날을 잊을건가 다같이 복을 심어
잘가꿔 길러 하늘닿게
세계의 보람될 거룩한 빛 예서 나리니
함께 힘써 나가세 함께 힘써 나가세... ball.gif
가사와 악보  
광복절노래
어린이 합창단
광복절노래 동영상
-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 제공
- 1958년 국립영화제작소 제작 
 

 

 

 


 
 
 
 
 

 

 

 

출처 : 온누리 흐름따라
글쓴이 : 野石 원글보기
메모 :